2011. 6. 30.

리움 미술관


리움박물관의 입구이다. 리움박물관은 총 3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건물은 다른 건축가에의해서 설계되었다. 마리오보타, 장 누벨, 렘 쿨하스. 하나의 미술관이 3명의 건축계의 거장에 의해서 지어진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리움 미술관을 온 김에 안에 들어가서 전시도 보고싶었지만, 일요일 아침 일찍 찾아갔었기에 문이 닫혀 있어 보지 못하고 돌아왔다.
얼마전에 스크랩을 한 기사중에 리움 미술관에 대해 언급되어있는 기사가 있었다. 그 기사를 읽고 이 미술관을 보고 싶다는 생각을 들게 한 이유는 오직 한가지였다. 다른 3나라의 건축가들이 한 곳에 3가지의 건물을 짖는데, 서로 잘 어울릴까?

보고 확인한 결과, 3 건물은 각각 다른 아름다움을 보여주며 다른 건물들과 비교할때 눈에 튀지 않고 잘 어울리고 있었다.
왼쪽 사진에 있는 건물은 마치 토속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으며, 오른쪽 사진에 있는 건물은 마치 여러개의 큐브가 틀어져 놓여있는것 같으면서도 한 뭉텅이로 볼때는 잘 정돈 되어 있는것이 깔끔하다는 생각을 들게 했다.
마지막으로 거미 조각상과 함께 찍힌 건물은 대부분이 유리로 되어있어 안을 들여다 볼 수 있게끔 설계되었다. 또한 앞에는 큰 마당이 있으며, 그 마당에는 지친 사람들이 쉴 수 있게끔 조각된 벤치도 마련되어 있었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개방적이라는 느낌을 받게끔 하였다.
리움 박물관은 이렇게 3개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3 건축가들의 작품이 각각 다른 아름다움을 표현해 어울리지 않을 것만 같았는데, 내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느끼고 왔다.

2011. 6. 26.

화려하게 변신한 버려진 고가철도

중앙일보 2011년 6월 25일 토요일
'황나현 - 뉴욕의 새 명물 '하이라인'공원 건축가'기사를 읽고: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691302

20여년 동안 버려져 있던 흉물을 철거하려고 의견이 나오던 참, 그 동네 시민들은 흉물이어도 정이 든 건축물이니 어떻게든 다른 방도로 사용하자고 했다. 그리 하여 고가철도를 공원으로 만드는 국제공모가 2004년에 열리게 되었다. 건축가 황나현씨가 속해있는 ‘제임스 코너필드 오퍼레이션’ 이 당선되었으며 2005년부터 시공을 하기 시작했으며 설계비는 1600억원이 들었다고 한다.

이 고가철도 공원 하이라인이 센트럴파크 등 기존 공원과의 다른 점은, 사용이 중단되었던 과거의 시설의 가치를 끌어내어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공간이라는 것이다. 또한 하이라인에서는 뉴저지 전망과 허드슨 강 노을을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는 쉼터이라는 점에서도 확연히 차이점을 느낄 수 있다. 하이라인 공원의 바닥은 굉장히 푹신한 느낌을 준다고 하는데, 플랭킹 시스템의 주 재료는 콘크리트였다고 한다. 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설계하는데 3년 이상이나 걸렸다고 한다.

어떻게 딱딱한 콘트리트가 푹신한 느낌을 줄 수 있는지 궁금증을 참을 수가 없다. 하지만 이 궁금증을 갖게 되면서 알게 된 것이 있다. 이러한 것들을 설계하려면 예술적인 면 뿐만이 아닌 화학적 지식도 필요하다는 것을 말이다.

2011. 6. 25.

놀이공원타워

중앙일보 2011년 6월 24일 금요일
'역발상 '초고층 놀이공원'' 기사를 읽고: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686434

놀이공원을 조성하는데 얼마나 넓은 땅이 필요할까? 그 동안 가보았었던 롯데월드나 에버랜드를 생각해보니 어마어마하게 큰 땅이 필요한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김주현 건축가가 이 당연한 생각을 뒤집었다. 초고층 놀이공원을 디자인 한 것이다. 층마다 재미있는 놀이시설을 넣고 그린에너지를 사용하는 친환경적인 놀이공원 타워가 도심 한가운데 지어진다는 내용이다. 실제로 설계를 하려면 그 높은 건물에 사용 될 모든 자재의 하중을 버틸 힘을 계산에 넣어야 할 것이며, 설계 또한 복잡해서 당장 실현되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거라는 생각이다. 그러나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그 아이디어 자체로 관심받을 만 하고, 이러한 생각으로 출발하다 보면 곧 현실에서 이루어지게 된다고 생각한다.

캐나다 토론토의 세계적 건축.디자인 잡지 AZURE가 개최한 공모전에서 베스트 컨셉부문과 인기상을 수상했다. 환상적인 컨셉이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 남과 다르게 생각해보고 당연한 것을 역발상으로 접근해 보는 것은 자꾸 시도해봐야 할 것 같다. 그렇다면 놀이공원처럼 큰 땅이 필요한 대학교도 층으로 과를 나누어 높게 지을 수도 있지 않을까?

2011. 6. 11.

르 코르뷔지에에관하여

중앙일보 2011년 6월 11일 토요일
승효상의 아키택처 '르 코르뷔지에 "어떤 것도 여기에 더해질 수 없다"' 기사를 읽고: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622236

승효상 건축가가 말한 적이 있다. 자신은 여행을 통해서 건축을 공부한다고. 여기에 여행을 통해 건축을 배운 건축가가 한명 더 있다. ‘르 코르뷔지에’ 그는 산기슭 마을에서 태어나 자랐기 때문에 건축교육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었다. 하지만 그는 학교 선생님의 제안을 받아들여 건축을 공부하기 위해 여행을 떠난다. 그는 여러 나라들은 돌아다니면서 설게는 물론 건축의 본질을 스스로 깨닫게 되었다. 르 코르뷔지에는 현대 건축에 있어서 아직까지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내 생각에 그는 건축의 아버지라고 불리어도 마땅할 듯 하다. 그는 모든 건축의 원칙을 만들었다. 그는 나이 70에 수도원 설계를 부탁 받는다. 하지만 조건이 건물을 지을 때 온전한 창조가 아니라 프랑스 남부의 르토로네 수도원을 참조하여 지어달라는 것이었다. 그에게는 와닿지 않는 제의였지만, 그는 프랑스로 여정을 떠났으며 이 여행에서 수도원 건축의 원칙을 깨닫게 되었다. 그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프랑스 르토로네에 도착에서 찾게 된 것이다. 바로 건축의 본질의 종착점을 찾은 것이다.

르 코르뷔지에와 승효상 건축가처럼 여행을 통해 피부로 접하며 건축에 관해 배울 수 있는 공부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도 대학교에 들어가서 여름방학을 이용해서 떠나는 유럽 배낭 여행을 꿈 꾸고 있다. 책에서 보았던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세계 건축물들을 체크해가면서 찾아 감상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