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2. 26.
훈데르트바서 전을 다녀와서
건축가로서의 훈데르트바서의 대표작은 블루마우 온천마을이다. 이의 특징은 대부분의 건물들이 땅 속에 지어졌다는 것이며, 마치 동화나라에 온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건물들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평온해지며, 어릴 적 그 순수했던 기억들을 되 살려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한다. 건축물을 오직 보기만 했는데 마음이 치유되다니, 역시 건축치료사라 불릴 만 하다. 그가 말한 말 중에 “우리가 혼자서 꿈을 꾸면 오로지 꿈에 그치지만 모두가 함께 꿈을 꾸면 그것은 새로운 세상의 시작인 된다.”라는 말이 있다. 혼자서 어떤 건축물을 짖고야 말겠다는 꿈을 가지고 있으면 실현하기 어려워 결국에는 중도하차하고 만다. 하지만 같은 꿈을 꾸는 사람들이 한둘 모이다 보면 힘을 합쳐서 실현시켜 새로운 세상, 거주공간이 탄생하는 것이다.
생각할수록 훈데르트바서는 대단한 예술가였다. 모두에게 행복을 주는 예술, 건축을 했으며 지상낙원을 남기고 떠나갔기 때문이다. 그의 건축물들을 한곳에 모아 둔다면 지상낙원이 따로 없을 것이다. 블루마우 온천마을부터, 슈페틸라우 쓰레기 소각장도 그러하다. 우리 모두에게 남기고 간 선물을 기억하며, 그가 중요시 여긴 행복을 잃지 말고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2010. 12. 29.
건축가 승효상 강연회 Seung H。Sang's Lecture

승효상건축가는 강연의 시작을 건축이란 무엇인가? 로 시작하셨다. 나또한 그 질문을 받자 마자 생각했다. 건축이란 자연을 헤치지 않고 조화를 이룰때 가장 아름다운 것이라고 말이다. 하지만 선생님께서는 건축이라는 것에 정의를 내리셨다. 바로 건축은 삶과 연관되어 있으며, 조각하는 공간이라고. 선생님의 강연을 듣고 깨달은 점이 있다. 건축이란 것은 바뀌는 것이 아니라 진화하는 것이라고 말이다. 요즘 지어지고 있는 집, 아파트와 몇천년 전에 지어진 집이 다를것이 없다는 것이다. 서양의 경우 중심에서 모든 것을 지배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동양의 경우는 모든 방면으로 개방되어 있어 모두를 환영하는 분위기가 난다고 하셨다.
학교 수업을 빠지고 들은 강연인 만큼 건축을 공부하고 싶어하는 나에게는 굉장히 큰 의미가 있었다. 이렇게 좋은 기회를 잡아 유명한 건축가 승효상 선생님과 사진도 찍고, 강연을 들으며 건축에 대한 꿈이 더 커졌으며, 이를 이루기 위해서 더 더욱 열심히 준비해야겠다는 마음가짐도 생겼다. 건축을 배운 후, 나 역시 설계사무소를 열어서 일을 하는 것이 희망이다. 이것을 꼭 이룰 수 있도록 건축을 배우고 싶다는 그 초심을 잃지 않고 쭉 공부할 것이다.
2010. 10. 31.
현대시립미술관 Hyundai Art Museum
올리는 사진은 1위로 뽑힌 팀의 도면과 모형이다. 한양대학교 건축캠프에서 여러가지의 도면을 보긴 했으나 이렇게 많은것들이 상세하게 기재되있는줄은 몰랐다. 그렇기 때문에 건축에 조금 더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된 것같다.
다만 내가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다면 건물들을 전부 사각형의 모형으로 설계하지 않고, 사각형, 굽은 모형 등 다양한 형태의 건물들로 만들었을 것 같다. 왜냐하면 미술관을 설계하는 프로젝트인 만큼, 건물들 자체에도 예술성을 조금이나마 심기 위해서이다.
I visited Hyundai Art City Museum which is located in Gwa Cheon. I went there because my aunt participated in designing the new Hyundai Art City Museum which will locate next to Kyeong Bok Palcace. Sadly, she did not win the first place but as you can see in the picture, the team that won the project had a very sophisticated blue print and sample model. Even after the Hanyang Architecture camp, I did not realize that so many things would be written in the blue print and sample model, such as locations of buildings and the hall ways. I think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critical for a beautiful design.
If I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I would not design all the buildings in rectangular shapes but add some different shapes like square or bent shape because it is a project that design an art museum, so I want to add some beauty in it.
2010. 8. 10.
신의 손 로댕전을 다녀와서
로댕은 정말 미친 사림이었다. 병원에서 곧 사망한다는 소식을 듣고도 끝까지 조각을 했다. 로댕이라는 사람은 조각이 아니었으면 완성될 수 없던 사람이다. 내 나이가 고작 18이라고 하지만 하고 싶은 일을 정하고 그것을 쫓아가는 것은 아름다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에겐 그 꿈이 건축이며, 건축뿐만 아니라 예술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우기 위해 이렇게 로댕전까지 찾아와서 둘러 본 것이다.
2009. 12. 26.
같은 건축, 하지만 다른 건축
'한국 건축의 최전선 16인의 솜씨를 보라' 기사를 읽고: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937313
건축을 처음 배울 때, 누구나 자신이 최고의 건축가가 되리라 다짐을 하며 배울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모두 같은 건축을 배웠는데 어떤 사람은 일거리가 많지만 어떤 사람은 일거리가 없어 입에 풀 칠하기 조차 힘들다. 어떤 사람이 보면 건축이 가장 불공평한 학문중 하나 일 것이다. 학창시절에 남들 누구보다 힘들게 공부했는데, 공부를 가장 안하던 놈이 사회에서 인정받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건축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이다. 건축은 예술이다, 즉 자신의 머리속 깊숙이 숨겨져 있는 생각을 끄집어내어 디자인으로 바꾸는 작업이며, 풍부한 상상력과 생각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얼마전에 한국 건축계를 이끌어 가고 있는 건축가 16인을 통해 한국 건축의 오늘을 가늠해 보는 자리인 메가시티 네트워크 서울전을 갔다 왔다. 그 곳에는 서울시 내에서 눈여겨볼만한 건물들의 사진과, 모형, 그리고 간단한 소개가 붙어져 있었다. 총 32개의 건축물이 소개되는데, 그 중 하나도 비슷한 점을 느껴볼 수가 없었다. 한옥, 주상복합건물, 고층 아파트, 도서관, 경기장, 폐광촌 등 굉장히 다양한 건축물들을 접할 수 있었다. 이에 총괄기획자인 김성홍 교수님은 “한국이라는 거대 도시에서 각 건축물이 엮어내는 ‘연결가능성’에 주목했다”고 말씀하셨다. 또한 각 건축가들은 현대 한국 도시를 3가지 관점에서 접근하는데, 이는 ‘초고밀도•초고층 도시환경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재료와 구조를 사용해 건축했으며, 그리고 공공성을 어떻게 구현했느냐’다.
모든 건축가는 자신만의 철학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최시영 건축가는 욕조는 침대와도 같기 때문에 되도록 가까이 두려고 한다는 것이다. 이와같이 자신만의 건축철학을 가지고 디자인을 한다면 같은 건축이면서도, 다른 것들과는 차별되는 다른 건축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009. 11. 5.
디자인 올림픽 Design Olympic
앞서 게시 했던 Zaha Hadid가 총 책임을 맡고 있는 동대문 플라자의 모형도 볼수 있었다. 사진으로 보는 것과 달리, 입체적인 미니어쳐를 보니 주변에 생각보다 많은 녹지가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녀의 심블이라고 할수있는 유선형의 디자인 또한 아주 멋졌다. 5분가량 집중해서 글을 읽고 사진을 찍었다. 다음으로는 현대 건축가들이 지은 건물, 용산시에 새로 지어질 신도시의 디자인 후보들도 다 볼 수 있어서 아주 뜻 깊은 시간이였다.
마지막으로는, 지금 대학생들이 디자인 한 물건, 자동차, 건축물들을 볼수 있는 거리였는데, 아주 재미난 물건들이 많았다. 우산을 사용해서 정화된 물을 모으는 장치 등 많은 것들이 눈에 띄었다. 나도 언젠가는 대학교의 건축과에 진학하게 될 것이며 이런 기회를 꼭 놓치지 않으리라 결심을 하면서 디자인 올림픽 전시장을 나왔다.
이 그림들은 내가 하루종일 다니면서 찍은 그림들이다.
위부터; 현대자동차의 컨셉카, 한국식 집안구조, 중국식 집안구조, 프라다 자동차의 컨셉카, 자하 하디드의 동대문 플라자
2009. 9. 30.
건축가, 자라 하디드 Zaha Hadid

1950년 이라크 바그다그에서 태어나서, 수학공부를 하였으며, AA스쿨을 졸업했다. 2004년 그녀는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받으면서 이름이 알려졌다.
그녀의 모든 건축물들은, 웨이브를 탄다. 건축물 중에는, 샤넬 모바일 아트 박물관, 스페인 사라고사에 있는 브리지 파빌리온 외에 많은 건축물 들이 있다. 이러한 건축물들의 공통점은
각이 없으며, 한 선으로 이어지는듯한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그녀는 건물뿐만 아니라,샹들리에,신발,자동차,등 여러가지를 디자인한다. 이번에 서울에 새로 지어지는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파크는 자하 하다드의 책임하에 지어지도록 되어 있다. 개인적으로, 자하 하디드의 건축물들을 좋아한다. 부드럽고 완만한 느낌이 들며, 그로 인해서, 자연과 더욱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
그녀의 건축물들의 위치를 보면, 대부분 넓은 평야에 있거나, 도심속에 있다 하더라도, 빌딩에 둘러 싸여져 있는곳이 아니다. 그 이유는 바로, 그녀의 건축물은 도심속에 있는 건물들이 아닌 넓은 평야, 하늘, 나무들과 더 잘 어울려서가 아닐까 싶다.
2009. 8. 23.
환경을 생각하는 건축
오늘 국립 서울 과학관을 가서 (뉴욕 자연사 박물관의 기후변화 체험전)을 다녀왔다. 그곳에서는 단순한 날씨에 대한 것들만 있던 것이 아니다. 18c 산업혁명이 일어나면서, 점차 지구 온난화가 시작되었으며, 지금 우리는 점차 다가오는 위기를 맞고 있다. 많은 건축가들이 조금이나마 지구온난화를 없애기 위해, 자신의 건축물에 지구 온난화의 주 원인인 CO2(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풀, 나무들을 심으려고한다.
위 2번째 사진은 건축물의 벽면에 식물을 심으므로서 예술적 감각을 돋보이게 하고, 또한 지구 온난화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익석 이조인 샘이다. 전 30년동안 인간의 생활모습을 그대로 유지한다면, 인류는 곧 지구 온난화로 인해 멸망하고 말 것이다. 하지만 개개인의 노력이 합쳐져, 단체, 국가, 세계로 넓혀지면서 결국 인류는 지구 온난화를 극복할 것이다.
Today, I went to Seoul National Science Museum which is having an exhibition of New York Natural History Museum related to the climate change. It was not only the weather that was in the exhibitio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18th century, the global warming has been growing and we are facing significant dangers. Many architectures plant grass and trees with their buildings to reduce the CO2 level which is a major cause of the global warming. The 2nd photo is a case that one planted grass on the wall of the building which grants the beauty and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quality.
If humans keep the current way of life, we are going to destroy the earth and ourselves. However, if individuals' effort come together, it can be spread to groups, countries, and the world which will allow us to defeat the global warming.